Complete
MY
Klesa 경제 용어 사전
Challenge
#Learn/Exam
#Humanity/Education
Author
Klesa
Entry
104
Type
Terminology
Language
Entry-
Status
Public
All Authors
Klesa
(Manager)
Less introduction
104
1
164
This is a user participation dictionary and may include inaccurate information.
Entry List
Selection result
result
Views
Like
Comment
Recent
Alphabet
Summary
Card
실업(Unemployment)
실업은 일자리는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의 의미로 노동을 제공할 의사와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중 취업상태에 있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자발적 실업(Voluntary Unemployment) 일할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현재의 임금수준에서 일한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로 노동시장에서 노동자와 일자리가 연결되지 못해 발생하는 마찰적(frictional)실업이라고도 합니다. 일시적 실업 - 즉 직업을 바꾸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업상태 탐색적 실업 - 나은 일자리를 탐색하면서 일시적으로 실업상태 비자발적 실업 취업의 의사는 있으나 유효수요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경기적 실업을 의미하며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구조적(Structural)실업 - 경제 구조나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노동수요의 변화로 인해 발생 경기적(Cyclical)실업 - 경기 침체시에 노동시장의 총수요의 감소로 발생 기술적 실업(Technological)실업 - 기술진보에 따라 노동 대신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기술적 실업
Klesa
1
0
2
2022-08-18
CBDC의 지급결제 방식
단일원장방식(계정형) - 중앙집중 혹은 분산 형태에 따라 지급결제 관련 정보의 보관과 관리를 중앙은행 또는 위임받은 은행이 운영 분산원장방식(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토큰형) - 체인기반에 의거하여 거래정보가 다수에 의해 분산되어 관리, 다수의 보유자가 전자지갑을 활용하여 보관, 거래가 가능해 실물화폐와 유사하여 익명성이 유지됩니다.
Klesa
1
0
3
2022-08-18
MIT 자율주행차에 대한 트롤리딜레마 실험
2014년 MIT Media Lab는 "Should a self-driving car kill the baby or the grandma? Depends on where you’re from." 이란 주제로 Moral Machine 실험을 하였습니다. 자율주행차가 트롤리딜레마 상황에서 누구를 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집하였습니다. 문화, 경제, 지역에 따라 어떠한 윤리 기준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실험하였습니다. 2014년의 자료로 각 나라를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만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는 젊은 사람의 생명을 중요시 여기고, 개인적인 가치보다는 많은 생명을 구하는 것을 중요시 여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살려야 한다면 유모차를 먼저 살리고 노인과 범죄자는 마지막으로 살리는 도덕적 허용치를 보여주었습니다. 2015년 MIT Techology Review에는 'Why Self-Driving Cars Must be Programmed to Kill' 에서 사고를 피할 수 없을 경우 인공지능은 각 상황에 어떻게 프로그램되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하였습니다. a. 직진을 하면 10명을 치고 방향을 돌리면 한명을 치게 되는 상황 b. 직진을 하면 1명을 치고 방향을 돌리면 운전자가 다치게 되는 상황 c. 직전을 하면 10명을 치고 돌리면 운전자가 다치게 되는 상황 질문의 대한 결과는 예상하기 쉽게 c > b > a 순으로 평가가 높았습니다.
Klesa
1
0
3
2022-08-15
코끼리 곡선(The elephant Curve of Inequality)
브랑코 블라노비치교수가 만든 모형으로 전세계 국가들(사람들)을 소득 수준에 따라 일렬로 줄을 세웠을때 실질소득 증가율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글로벌 경제발전으로 인한 불평등변화를 보여줍니다. 경제성장의 초기는 대부분 국민의 실질소득증가율이 상승을 합니다. 중국과 인도 등의 국민(근로자)이 포함됩니다. 경제성장의 중기는 초록구간의 국민보다 잘 살지만 인플레나 타국과의 교역마찰규제, 글로벌적인 경기구조변화 등에 의해 실질소득증가율은 오히려 감소합니다. 고소득국가와 OECD회원국의 국민(근로자)들이 포함됩니다. 경제성장의 후기는 빅테크와 금융재벌의 등장으로 인해 고소득층은 더 많은 부를 차지하게 됩니다. 세계 각국의 부유층들이 포함됩니다.
Klesa
1
0
4
2022-08-18
Web의 진화
Web 1.0 - 모바일 시대 전 PC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Web 2.0 -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Web 3.0 - 탈중앙화와 개인 콘텐츠 소유가 주를 이루는 메타버스 기반의 인터넷 Web 1.0 시대 싸이월드에서 도토리 모으던 원시 시절 Web 2.0 시대 인터넷 환경에서는 디지털 파일이 무한대로 복사, 축소, 확대, 전환이 가능하기에 원본과 복사본의 구별이 불가능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소유권의 주장하기 어려우므로 자신이 소유한 창작물에 대한 수익을 창출하기가 어려웠습니다. Web 3.0 시대의 도래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탈중앙화(DiFi)를 이루었으며, NFT를 통하여 디지털 파일에 대한 저작권과 소유권을 증명하게 되어 수익을 창출하게 되었습니다.
Klesa
1
0
2
2022-08-18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
이 연구는 구글(Google)의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로부터 시작됩니다. 많은 인재들이 모여있는 글로벌기업인 구글에서도 '왜 어떤 팀은 다른 팀보다 월등한 성과를 이루는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시작된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는 통계전문가, 심리학자 등의 전문가 집단이 구성되어 구글 안에 있는 180여 개 팀에 대해 어떤 요소들이 팀 성과를 결정짓는지 분석을 하였습니다. 그 결과 성과가 높은 팀이 가지고 있는 5가지 요인을 찾아내었습니다. 심리적인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 - 상대방의 약점을 수용하고,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도 안전하다는 느낌 상호의존성(Dependability) - 팀의 목표를 위해 정해진 시간 안에 맡은 일을 완수 체계와 명확성(Structure & Clarity) - 팀 내 명확한 역할 분담과 계획, 목표가 존재 일의 의미(Meaning) - 팀 내 자신의 업무에 대해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 일의 영향(Impact) - 팀의 업무는 중요하며 변화를 만드는 것이라는 믿음 4가지 항목은 개인적 목적의식과 팀의 효율성과 체계성과 관련된 독립적인 부분이지만, 심리적인 안전감은 팀과 개인과의 유대관계에서 비롯한 복합적인 부분입니다.
Klesa
1
0
2
2022-08-18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 Digit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를 의미하며 가치가 전자적으로 저장하는 화폐를 의미합니다. 민간에서 발행하는 가상화폐와 구별되는 법정통화(legal tender)로서 실물화폐와 동일한 교환비율이 적용되어 가치변동의 위험이 없고 중앙은행이 발행하므로 화폐의 공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Klesa
1
0
4
2022-08-15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 : Inflation Reduction Act)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 : Inflation Reduction Act)은 향후 10년 동안 4850억달러(약 633조4100억원)를 투입해 에너지 안보와 기후변화 대응, 헬스 케어에 집중 투자하는 법안입니다. 특히 이 중 에너지 및 기후변화 관련 예산이 3860억 달러로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는데, 태양광 패널 등 청정 전력 생산과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와 관련 기업에 대한 금융 및 기술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남은 980억 달러는 ‘오바마 케어’로 불리는 건강보험개혁법(ACA)에 따른 보험 수혜 대상과 지원 규모를 확대, 유지하는데 쓰입니다.
Klesa
1
0
4
2022-08-15
국가관리 생산지수
국가가 생산물가를 가늠하는 지표는 3가지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 -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품과 서비스만 측정 국내공급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에서 수입품을 포함한 국내시장에 공급되는 모든 상품 및 서비스의 모든 가격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 가공단계별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로 지수가 구분되기에 물가의 단계별 원자재와 중간재의 가격변동을 파악하는데 용이 총산출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에서 수출품을 포함한 국내 기업이 생산한 상품 및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 실제 수치가 예상치보다 높은 경우 미달러화 가치 및 전망이 긍정적이라는 뜻이며, 낮은 경우 부정적임을 의미합니다. 생산자물가가 상승하면 소비자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이어질 가능성 높음
Klesa
1
0
3
2022-08-18
트리핀 딜레마 (Triffin's dilemma)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 예일대 교수는 기축통화의 구조적 모순을 트리핀 딜레마라는 용어로 설명했습니다. 그는 1944년 출범한 브레튼우즈(Bretton Woods) 체제가 기축통화(key currency)라는 내적 모순을 안고 있다고 진단하였습니다. 브레튼우즈 체제는 기존의 금 대신 미국 달러화를 국제결제에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금 1온스의 가격을 35달러로 고정해 태환할 수 있는 기축통화로 만들었습니다. 문제는 달러화가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대외거래에서의 적자를 발생시켜 국외에 끊임없이 유동성을 공급해야 합니다. 그러나 미국의 적자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는 유동성이 과잉되어 달러화의 가치는 흔들릴 수밖에 없다. 반면 미국이 대외거래에서 장기간 흑자상태를 지속하게 되면, 달러화의 가치는 안정시킬 수 있으나 국제무역과 자본거래를 제약할 수 있다. 적자와 흑자의 상황에도 연출될 수밖에 없는 달러화의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모순을 가리켜 트리핀 딜레마라고 합니다.
Klesa
1
0
1
2022-08-15
슬로우 패션(Slow Fashion)
패스트패션(Fast Fashion)의 반대말로 소비를 느리게 하자는 것뿐 아니라 친환경적으로 윤리적인 가치를 담은 패션을 추구
Klesa
1
0
2
2022-08-15
VUCA시대
지금의 환경은 VUCA로 표현합니다. 변동적(Volatility)이고 불확실(Uncertainty)하고 복잡(Complexity)하고 모호(Ambiguity)하다는 것입니다.
Klesa
1
0
1
2022-08-18
조세정의네트워크(TJN)
조세정의네트워크(Tax Justice Network)는 영국 런던에 본부를 둔 비정부기구(NGO)단체로 파나마 페이퍼스를 통해 모색 폰세카(조세 피난처 용도의 기업 차명 설립 지원을 다루는 법률 사무소) 고객명단을 공개하였습니다.
Klesa
1
0
1
2022-08-18
국민총생산(GDP)
GDP(Gross Domestic product) - 일정 기간 동안 한나라의 국경안에서 생산되는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로 그 나라의 경제수준을 의미합니다. 모든 경제주체가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된 최종 생산물 또는 부가가치의 합을 나타냅니다. GDP의 산출방식은 생산, 소득, 지출로 이루어집니다. 이론상 모든 노동을 이용해 생산이 이루어지고 생산품을 노동자이 임금으로 소비가 된다면 세 가지 방법으로 구한 값은 같습니다. 이것을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생산GNP = 소득GDP = 지출GDP)이라고 합니다. 명목 GDP - 경제규모를 파악하는 지표로 해당 연도에 생산된 최종생산물 가격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실질 GDP - 경기 변동이나 경제성장률를 파악하는 지표로 기준연도에 생산된 최종생산물 가격 합으로 계산됩니다. 명목GDP는 해당연도의 시장가격을 적용한 것으로 국가의 경제 규모, 구조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됩니다 문제는 인플레이션 등을 반영하지 못합니다. 반면 실질 GDP는 가격을 해당 연도가 아닌 특정 기준연도의 시장가격을 적용하여 계산한 수치입니다. 경기 변동이나 경제성장률 등 연도에 따른 흐름을 분석하는데 활용됩니다. 실질 GDP의 기준 연도는 5년 단위로 바뀝니다. 2014~2018년의 기준 연도는 2010년이고 2019년도에 기준연도가 2015년으로 바뀌었습니다.
Klesa
1
0
2
2022-08-18
행복추구권
행복의 추구권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 추구권으로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에 의한 것으로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 중 하나로 안락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추구할 권리, 즉 고통이 없는 상태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상태를 실현하는 권리로 정의됩니다. 하지만 행복추구권은 인간의 존엄의 보충적인 성격을 가진 기본권입니다.
Klesa
1
0
1
2022-08-18
트리핀 딜레마
기축통화인 달러의 국제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축통화국인 미국은 국제수지 적자를 지속해야합니다. 하지만 달러를 많이 발행하면 그만큼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고, 그렇다고 달러의 발행을 줄이면 달러의 공급 부족 현상에 직면하게 되고 그러면 국제무역과 자본거래를 제약해 기축통화국의 지위를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Klesa
1
0
2
2022-08-18
디지털 위안화
2014년 중국은 정부 산하 디지털화폐 전문조직을 만들고 연구 개발 및 시범운영을 거쳤습니다. 2020년 중국은 디지털 위안(e-CNY)이라는 CBDC를 개발했습니다. 그리고 CBDC가 전국적으로 이용되기 위해 중국 내 가상화폐에 대한 사용 금지법을 제정하였습니다. 새로운 통화 사용과 암호화폐의 사용 금지에 대한 거부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것과 달리 시범적인 운용은 큰 문제 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물론 통제가 가능한 사회주의 국가이기에 가능한 것이었지만 일단 진행이 되면 세계의 디지털 통화로써 가치를 인정받게 됩니다. 2021년 기준으로 디지털 위안화 전자지갑 가입자는 공식적으로 2억 6천만 명이며, 사용 가능 장소는 8백만 곳이며, 누적 거래액은 875억 위안(16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2022년 베이징올림픽 당시 외국인에 대한 디지털 위안화를 사용을 시행하였습니다. 동계올림픽 중 e-CNY는 하루에 약 20억 위안(약 3,700억 원)이상 거래가 되었습니다.
Klesa
1
0
1
2022-08-15
경제고통지수(MI: Misery Index)
한 나라의 국민이 겪고 있는 경제적 고통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경제고통지수는 한 나라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고통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오쿤이 고안한 지표로, 실업률과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더해 산출합니다. 경제고통지수(MI : Misery Index) = 실업률 + CPI상승률 지수가 높을수록 실업률이 높아지고 물가가 올라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고통이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Klesa
1
0
1
2022-08-18
비핵화(Denuclearization)
CD(Complete Denuclearization) - 완전한 비핵화 CVIA(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Abandonment) -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포기 CVID(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enuclearization) -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Klesa
1
0
1
2022-08-18
소비자물가지수 CPI(Consumer Price Index)
CPI는 미 노동부(Department of Labor)산하 고용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 BLS)에서 발표하는 자료로 소비자의 시각에서 상품 및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측정하며, 구매 동향 및 인플레이션의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CPI의 연단위 변화율은 인플레이션의 지표가 됩니다. 그리고 급여나 연봉, 연금 등의 실질 가치 계산에 쓰이는 지표입니다. CPI의 대표품목으로 식료품, 의류, 주류, 보건, 교통, 통신 등 12가지, 총 460개의 품목이 포함되어있습니다. 국민들이 자주 사용하는 필수소비재의 대표품목을 조합하여 물가를 측정, 평균하여 산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Klesa
1
0
4
2022-08-15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