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te
MY
우주에 대한 것
Challenge
Author
곰돌쓰 and 1 people
Entry
13
Type
Language (Advanced)
Language
Entry-
Status
Public
All Authors
Legon 8263
(Manager)
갸라도스
(Writer)
Less introduction
67
40
109
This is a user participation dictionary and may include inaccurate information.
Entry List
Selection result
result
Views
Like
Comment
Recent
Alphabet
Summary
Card
은하
은하는 여러 행성과 항성이 같이 모여있는것 입니다.
곰돌쓰
9
11
8
2021-06-04
팽창
팽창은 약 138억년전에 엄청난 에너지가 모여서 우주가 탄생하면서 그 엄청난 에너지가 지금까지도 남아 있어 우주가 커지고 있는것을 말한다.
곰돌쓰
9
0
8
2021-06-04
바다 오염 원인
사람들은 흔히 지구의 바다가 망가지는 가장 큰 이유를 일회용품,플라스틱, 그물 등으로 생각하는데 바다가 망가지는 원인중에서는 이 모든게 0.1%밖에 안됍니다... 진짜 이유는 바로 어업입니다(낚시 등). 몰랐을 가능성이 큰데요. 어업으로 하루에 약 36만마리의 해양 생물들이 죽습니다. 연간 쓰레기로 죽는 해양 생물이 100만마리도 채 안돼는데 하루에 36만마리면 36만×365=1억3140만입니다. 근데 고위 간부나 자연 보호 단체가 아무런 대처를 못하는 이유는 뇌물을 주거나 살인청부업자를 써서 죽게 될까봐입니다.. 플라스틱 안쓰는것도 중요하지만 물고기·해양 생물들을 먹지 않는게 더 낫지 않을까요? 이 상태가 지속되면 2048년에는 바다 멸망해요.. 알아 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융딱이
7
7
13
2021-06-27
중력파(제 기준으로는 쉽게 설명했지만 어려울수도)
중력파는 두 개의 거대한 블랙홀이 충돌하거나 생명을 다한 별이 폭파하는 등 우주에 존재하는 거대한 물체의 급격한 움직임으로 인해 우주의 시공간마저 뒤틀릴 때 발생하는 물결이다. 이걸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력의 대한 개념을 바로잡고 갈 필요가 있습니다
융딱이
6
2
11
2021-07-02
태양🌞
지구엔 자기장이란게 있는데,그 자기장은 동쪽과 서쪽에만 단단하게 보호되여 있기 때문에 북극과 남극은 자기장과 태양풍이 부딫히면 오로라가 보이는 것이다.
Legon 8263
5
2
5
2021-06-07
빅뱅
빅뱅은 최초의 우주가 만들어질때의 폭발이고 약 138억년전에 빅뱅이 일어났다.
융딱이
5
2
7
2021-06-28
외계행성1:해비터블 존
행성의 표면 온도는 항성(중심 별)에서의 거리에 따라 달라집니다.항성에 너무 가까우면 고온이 되어 물은 증발해 버리고,너무 멀면 저온으로 얼고맙니다.액체로서 존재 할 수 있는 거리에 적당한 크기의 행성이 있다면 생명이 탄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이 범위를 '해비터블 존'이라고 하며 항성(중심 별)의 온도나 밝기에 따라 변화합니다.
Legon 8263
5
1
7
2021-06-08
항성
참고:항성도 수명이 있는데,그 수명은 항성에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항성의 수명은 클수록 짧고 작을수록 길다
곰돌쓰
5
5
3
2021-06-07
암흑물질⚫
암흑물질과 이름이 비슷한 암흑성운이란게 있는데,암흑성운은 우리 눈엔 검지만.그 뒤엔 별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Legon 8263
4
1
9
2021-06-07
별의 죽음1
사람도 수명이 있듯,별도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크기가 큰 별일수록 수소를 많이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수명이 짧고,크기가 작은 별 일수록 수명이 깁니다.우리 태양은 주계열성이여서 수명이 100억년 정도인데,앞으로는 50억년을 더 살수 있다고 합니다. 또 별의 죽음은 두가지로 나뉘어 지는데, 주계열성(중간 크기의 별)보다 큰 별의 경우엔 '초진성 폭발'을 일으킵니다.초진성 폭발 후,그 별은 자신의 중력의 따라 두가지로 변신을 합니다.첫번째는 무서운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그리고 두번째로는 블랙홀인데,중력이 그렇게 많이 무겁지 않으면 중성자별이 되고,어마어마하게 무거우면 자신의 중력을 이기지 못해 무너져내러 블랙홀이 됩니다.하지만, 대부분이 별의 요람이라 불리는 '성운'이 됩니다.
Legon 8263
3
1
11
2021-07-28
유성
유성은 하늘에 소행성이 지구근처에 있는것을 말합니다
갸라도스
3
4
4
2021-06-25
신기한 것
신기한 것은 예를 들어서 1억광년 떨어져있는 행성을 허블 망원경으로 보면,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1억년전의 그 행성을 보고 있는 것이다.
곰돌쓰
3
1
9
2021-06-28
화이트홀
화이트홀은 아직은 우주에 존재한다고 밝혀지진 않았지만 계속 찾아보고 있는 중인 천체다. 블랙홀과는 달리 모든걸 내보내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하얀색을 띄고 있다하여 화이트홀이라 불린다(밝혀진게 많이 없어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어요.)
Legon 8263
3
3
14
2021-07-2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