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트론 여러분께서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질문포함댓글이 무려 55개...ㄷㄷ 시스트론이 무엇인지 쓰겠다. 유전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유전자, 즉, 폴리펩티드를 암호화 할 수 있는 DNA 서열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유전자(gene)의 다른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특히, 시스트론이란 단어는 동일 게놈 상에 위치한 DNA 서열들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며 트랜스(trans)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시스트론의 정의 시스트론 이라는 용어는 시무어 벤저(Seymour Benzer)의 "유전의 기본 단위"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돌연변이가 동일 염색체에 있는 경우를 시스(cis) 배치, 다른 염색체에 있는 경우를 트랜스(trans) 배치라고 하는데, 시스트론은 이 두 가지를 합한 것이다. 즉, 두 개의 독립적 돌연변이가 상보성(complementation)을 보이지 않는 경우 이들 돌연변이는 동일 시스트론에 있다고 보며, 서로 상보성을 보이면 다른 시스트론에 있다고 본다. 시스트론의 여부는 시스-트랜스 검사(cis-trans test) 또는 보완 검사(complementation test)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림 1). 예를 들어, 미상의 염색체 X 위치와 Y 위치에서 각각 발생하는 열성 돌연변이, 즉 xx와 yy가 동일한 표현형을 나타낸다고 가정하자. 이들 열성 돌연변이 초파리 간 교배를 통해 얻어진 이형접합체인 XxYy가 정상 표현형을 나타낸다면, x 돌연변이와 y 돌연변이는 상보성을 보인다고 판단하며, 이 경우 X와 Y 부위는 다른 염색체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XxYy가 여전히 열성 표현형을 나타낸다면 X와 Y는 하나의 시스트론, 즉 상동 염색체의 동일 위치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형접합체의 유전형은 XxYy가 아닌 xy로 볼 수 있다. 즉, x 유전형은 A라는 유전자의 X 부위에 변이가 일어난 것이며, y 유전형은 A 유전자의 Y 부위에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xx와 yy가 동일한 표현형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두 표현형이 동시에 나타날 수 없는 경우, 즉 xxyy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두 돌연변이가 동일 시스트론에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좋아요 부탁드림
이성연